장애 포용: 사회를 덜 배타적으로 만들기

'장애'라는 단어와 그것에 대한 우리의 관점은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달라졌다. 오늘은 상황이 얼마나 변했는지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할 것이다.
장애 포용: 사회를 덜 배타적으로 만들기

작성자: Elena García

마지막 업데이트: 27 12월, 2022

우리가 이 글에서 사용할 “장애”라는 말은 일상생활의 일부분이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적절하게 또는 정확하게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기도 하다.

장애’의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했고, 사회는 포용의 긍정적인 길로 향하고 있다.

장애 포용: 사회를 덜 배타적으로 만들기

사회적 발전은 기능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맥락과 가시성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것을 염두에 두고 장애의 개념적 진화에 관해 이야기하기로 하자.

장애는 고정된 생각이 아니다. 그것은 한 개인의 기능적 한계와 그들이 외부로부터 받는 지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의존한다.

또한, 사람이 그들의 환경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방식과도 관련이 있다. 우리는 적응적 행동을 통해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기능적 한계를 줄일 수 있다(Badia, 2014).

“장애는 인식의 문제다. 당신이 한 가지 잘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누군가에게 필요한 것이다.”

마티나 나브라틸로바

장애 용어의 진화

장애: 용어의 진화

우리가 장애의 포용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 그 역사에 대해 더 많이 알아야 한다. 따라서 세계보건기구(WHO)의 장애분류 체계의 차이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리는 또한 ‘기능적 다양성’이라는 개념의 기원에 대해서도 잠시 이야기하고자 한다.

1980년 ICDIH

1980년대에 WHO는 국제 장애분류(ICDIH)를 만들었다. 그들은 장애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다른 수준으로 구성된 질병으로 간주했다.

  • 손상. 질병과 사고로 인한 영구적인 신체적 결과.
  • 장애. 누군가의 활동을 제한하는 손상.
  • 핸디캡. 일반적으로 정상으로 간주하는 특정 사회적 역할에 참여하거나 수행하는 능력을 제한하거나 완전히 방해하는 장애나 손상.

2001년 ICF

2001년 이 모델은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가 되었다.

  • 장애는 건강 측면 및 웰빙과 관련된 다른 요소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 손상과 핸디캡의 흐름 개념뿐만 아니라 손상-장애-핸디캡과 같은 용어를 삭제하였다.
  • 그것은 장애가 건강 상태임을 시사했다. 즉, 장애, 활동(제한) 및 참여(제한)와 관련된 기능 문제를 환경적 또는 개인적 맥락의 요인이 추가된 질병 또는 장애였다.

2005년에는 ‘기능적 다양성’이라는 개념이 탄생했다. 그것은 어시스턴스 리빙 포럼에 의해 추진되었다. 로드리게스와 페레이라(Rodríguez and Ferreira, 2010년)가 말했듯이, 이 개념의 목표는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부정적인 용어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러나 스페인 조직 CERMI를 비롯한 일부 사람들은 다른 개념에 찬성하여 ‘기능적 다양성’이라는 용어를 거부했다. 널리 사회적 수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용어와 동일시되지 않는다고 느낀다는 것이다.

‘장애인’ 보다는, “장애가 있는 사람”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장애 배제에서 포용까지

장애 배제에서 포용까지

포용, 배제, 장애/기능적 다양성의 영역 안에서 말할 가치가 있는 몇 가지 다른 것들이 있다. 그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포용

이것은 사람들의 자기 결정권과 참여권에 관한 것이다. CILSA에 따르면, 이 모델은 우리 사회가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기회를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다른 모든 사람과 같은 기회를 얻고 사람들이 살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회의 책임이다. 한 사회가 다양한 환경 사이의 장벽을 세우지 않고 상호 작용을 장려하면, 발전과 평등이 쉽게 달성될 수 있어야 한다.

통합

이 모델은 특별한 필요나 다른 능력을 갖춘 사람들을 동등한 존재로 고려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사람들을 ‘수용’하지만 여전히 그들을 다른 사람으로 본다.

비록 그들이 우리 사회의 한 부분일지라도, 그들은 주변의 조건에 적응해야 한다. 이것은 사회가 완전히 포용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리

이 관점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특별한 보살핌이나 생활환경이 있어야 하는 사람으로 간주한다. 그것은 사람들을 차별하고 그들의 기본권을 일부 빼앗는 것을 수반하는 모델이다. 이 경우, 그들은 사회의 일부도 아니다. 그들은 소외된 공간에서 존재한다.

배제

이것은 어떤 사람을 정상으로, 다른 사람을 비정상적으로 생각하는 모델이다. 그러므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명백히 사회에서 소외된다. 그들이 그 일원이 될 가능성은 없다.

최근 몇 년간의 사회적 발전 덕분에 우리는 점점 더 진정한 장애 포용에 가까워지고 있다. 우리가 모두 같은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좋은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절대 잊지 말자.

결국, 우리는 모두 사람이고 우리는 모두 행복하고 성취될 자격이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adía, M. Psicología de la Discapacidad. Universidad de Salamanca. 2014

  • Díaz, S. R., & Ferreira, M. A. (2010). Desde la dis-capacidad hacia la diversidad funcional. Un ejercicio de dis-normalización. Revista internacional de sociología68(2), 289-309.

  • García, M. G., Corona, D. G., López, C. B., & Barberá, C. G. (2009). De la exclusión a la inclusión: una forma de entender y atender la diversidad cultural en las instituciones escolares. Revista psicopedagogia26(79), 108-123.

  • Pantano, L. (2014). La palabra ‘discapacidad’ como término abarcativo. Observaciones y comentarios sobre su uso.

  • Romañach, J., & Lobato, M. (2005). Diversidad funcional, nuevo término para la lucha por la dignidad en la diversidad del ser humano. Foro de vida independiente5, 1-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