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은 왜 그렇게 극복하기 힘든 걸까?

걱정은 왜 그렇게 극복하기 힘든 걸까?

마지막 업데이트: 20 4월, 2017

요즘, 걱정하는 것은 매우 흔하며, 우리들은 이 상황을 어떻게 대처할지, 어떻게 걱정을 덜 지 잘 모르곤 한다. 걱정이란 건 나타나면 우리들을 흔든다. 우리는 이 걱정들을 지울 수 있는 걸까?

많은 심리학자들은 이 ‘걱정 장애’를 연구했고, ‘걱정으로 아프기 시작하거나, 혹은 아픔을 느끼지 않게 되는 나이의 기준’은 없다는 결론을 냈다. 이것은 우리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는 순간까지, 우리는 걱정을 겪는 것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국, 어떤 사람들은 우리보다 걱정을 민감하게 받아들여, 어떤 사람들은 삶 내내 걱정에 시달리기도 한다.

걱정은 일반적으로 뭔가를 하고 싶어하거나, 바꾸고 싶어하거나, 향상시킨다거나, 혹은 일어나는 것 등에 대한 자극에 대한 우리의 몸의 신체적인 반응을 의미한다. 걱정은 육체적이건 심리적이건 우리의 약점의 감정에서 나타난다.

우리가 우리의 마음의 안정을 위협하는 상황을 인식했을 때, 우리는 걱정을 느낀다. 그것은 미래가 불안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누군가가 도착하기를 오매불망 기다리거나, 경주에서 완주를 노리거나, 아기가 태어나려 하거나, 중요한 순간을 맞이할 때와 같은 상황에서 말이다.

두려워하는 것에 대한 걱정

이 표현을 어떻게 인식해야할까? 연구자들에 의하면, 23%의 사람들이 걱정을 겪었거나, 겪고 있거나, 혹은 겪을 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그들이 심리적인 장애를 가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이 증상이 평생 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걱정은 “두려움, 몰린 상황과 같은, 같은 두려움의 과정이 계속해서, 계속해서 반복될 수 있다’는 것과 같다. 우리는 우리가 학교를 졸업하지 못할 것이라거나, 기다리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던가, 아이가 태어날 것에 대한 두려움 등에 걱정하곤 한다.

걱정의 감정은 출구가 없는 미로에 갇혔거나, 우리 속에 갇힌 상황과 비슷하다. 우리는 조금 기다리면 어떻게 해야 나갈 수 있는지를 알지만, 어떻게 해야 그걸 해낼지 알지 못한다. 이 불안함이 우리에게 더 많은 불안과 두려움을 불러오고, 탈출할 수 없는 악랄한 연쇄사슬을 만들어낸다.

다음 단계는 이 두려움이나 걱정의 외재화, 신체적인 증후를 찾는 것이다: 우리의 위장이 아프거나, 가슴이 답답하거나, 숨을 쉬지 못하거나, 기절할 것 같다거나, 땀을 지나치게 많이 흘리거나, 피부가 창백해지거나, 동공이 확장되거나 하는 등의 증상을 느낀다. 이 모든 증상은 우리가 걱정을 느낄 때 나타나며, 이하의 신체적/심리적 연결과 관련이 있다.

“미쳐버릴  것 같아!” “숨 못 쉬겠어!” “머릿속이 하얘질 것 같아!”와 같은 생각들은 공포증을 느끼는 사람의 생각만은 아니며, 오히려 걱정을 느끼는 사람에게서 느껴지는 일반적일 생각일 수 있다.

설령 우리가 이 걱정의 징후를 잡아내도, 그로부터 탈출하기는 쉽지 않다. 왜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걱정을 느끼지 않기가 이렇게 어려운 걸까? 왜냐하면, 두려움은 맹렬하고 흉포한 짐승과 같아, 우리를 향해 공격하며 놓지를 않으려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속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고, 미래에 대해 너무 많이 생각하지 않고, 지금의 삶을 즐기는 것이다. 이것이 걱정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다른 괜찮은 방법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조절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걱정과 불안을 느끼기 시작한 순간, 우리는 이것을 마주해야 한다. 갑주를 입고, 방패를 들어, 자신을 방어하라. 하지만 어떻게?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지금 당장 하는 일에 몰두하여, 마음이 너무 긴장하지 않도록 달래는 것 등으로 해내면 된다.

걱정과 두려움을 극복할 수는 있다.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받아들이냐, 혹은 우리가 자신들 앞의 이 ‘짐승’들을 어떻게 다루고 분석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