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는 우리가 왜 병들었다고 말했을까?
니체는 짧은 역사에서 아마도 가장 혁명적이고 가장 널리 해석되는 사상 중 하나를 만들었다. 그는 신의 종말을 선언하고, 세상을 다시 바라보고 이해하는 잣대를 세웠다.
이는 인간으로 하여금 큰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를 가뒀던 생각의 감옥으로부터 해방되게 만들었다. 바로 삶, 자기 자신, 자유에 대한 두려움이다.
니체(Nietzsche, 1844-1900)는 많은 문제들의 근원은 계몽된, 그러고 다수 민주적인 그리스에서 왔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신화를 제쳐 두고 로고(logos)를 숭배했다. 우리는 동굴에서 본 그림자에 겁먹고, 우리를 제한된 생명체처럼 보이게 하는 이성을 숭배했다.
니체는 계속해서 이런 종류의 현대성에 회의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그는 삶에 대한 고통,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 우리가 좋아하지 않는 것 등, 이 틀 안에 숨어 있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했다.
질병의 근원과 비극
그리스에서는 디오니소스가 패배했고 아폴로가 승리했다. 이것이 우리가 겉으로 내보내는 완벽주의에 매료된 이유다. 우리가 표현하는 방식 때문에 바깥으로 나오는 것이다: 이는 우리의 본성과는 멀리 떨어진, 현재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 우리의 처벌과 운명은 상징적인 형태를 초월하여 물질적인 형태로 나아가는 것이다.
- 이 처벌을 뒤집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죽음이다.
이것은 오늘날에도 폭탄으로 몸을 감싸고 더 나은 세상으로 가는 길을 시작하는 근본주의자들에게 이상이다. 하지만 이들은 그 과정에서 다른 생명들을 빼앗는다. 그리고 그들은 이 생명들이 그들의 바깥으로 탈출하는 티켓으로 생각한다.
소크라테스는 디오니시안과 아폴로네안을 분리함으로써 이 사상의 문을 열었을 것이다. 그러나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식 방법(지식의 결실, 이성의 성취)과 비극을 충족시키면서, 한쪽을 우위에 두었고 비극도 마찬가지였다.
이 분열과 계급의 폭로는 기독교를 통해 전해졌다. 기독교는 삶을 죽음에 대한 준비 과정, 혹은 눈물의 계곡으로 비유했다.
죽음은 벌이었고, 보상은 천국이었다. 이것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굶주림, 역병, 희망에 의해 황폐화된 고난과 완벽하게 들어맞는 생각이었다. 지금 고통을 겪고 있지만, 나중에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하지만 돈을 벌기 위해 충분히 고생한 사람들에게 한정된 이야기다.
이 비전은 또한 인간에게 주어지는 도덕적인 처벌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우리의 최선의 행동은 결코 우리 자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이 아마도 우리가 “밤이 가장 어두울 때 동이 튼다”라고 말하는 이유일 것이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사람들이 전지전능한 신이 우리에게 시련을 주는 정당한 이유로 삼기도 한다. 재미있지 않은가?
니체는 말한다: 우리는 자발적 노예다
니체의 사고의 핵심으로 돌아가 보면, 이것이 우리가 아는 것보다 믿음에 기초한 가치의 척도를 만든 방법이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똑똑한 사람들이고, 암흑 시대는 영원히 지속하지 않는다…
반면 우리는 내면의 깊은 감정을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해결책인 과학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런 점에서, 니체에게 있어 과학은 인간이 동굴 밖으로 자신을 발굴하기 위해 만든 완벽한 도구였다.
우리는 과학적 발명을 이루면서,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운명을 이해하기를 바랐다. 모든 사람들에게 일치하는 일종의 방정식을 말이다. 이것은 기업들이 현재 소비자들이 다음에 무엇을 살지 예측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니체는 자신의 “망치질”을 바탕으로 한 허무주의와 마주 하고 있다. 그것은 그의 파괴적인 철학의 일부분이다. 그것은 전통적인 지식의 틀과 그 결과, 특히 서양 문화와 그가 문화가 반영한 다른 장소들을 공격한다.
니체는 무엇을 보았을까? 허무주의적 비관론과 초인의 등장
니체는 허무주의의 일환으로 왜 우리가 아픈지, 왜 그리스에서 일어난 일이 우리 모두에게 비극의 시작이었는지 말해준다. 그의 대답은 마치 계몽 시대와 의인화 시대에 있었던 코페르니아의 궤변과도 같다. 물론 다른 어조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계몽 운동 사상가들과는 달리, 그는 과학이 우리를 구할 것이라고 믿지 않았다. 니체는 실제로 과학이 어떤 면에서는 더 지적이고 역동적이기는 하지만 종교를 대신할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은 삶에 대한 우리의 쓰라림을 배신한 종교였다. 결과적으로, 또한 우리의 질병과 우리의 가장 기본적인 본능의 “억압”을 배신한다고 그는 믿었다.
종교나 과학(니체가 특히 수학에서 본것)이외에도, 이러한 병든 근대성의 또 다른 표현은 언어였다. 우리가 삶을 단순한 숫자로 줄이려고 했던 것처럼, 우리는 또한 개념으로 삶을 줄이려고 노력해왔다.
이런 종류의 언어는 우리가 진실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집단적인 도구인 허구이다. 분류할 수 있고, 객관적이고, 수량화할 수 있고, 절대적이어야 한다고 확신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이제 우리는 질병을 이해했다. 니체는 무엇을 해결책으로 보았을까? 그것은 우리가 스스로의 가치에 투자하고 초인의 탄생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초인은 다시 살기를 원할 정도로 삶을 잘 살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다.
이것은 니체의 사고 방식의 진정한 역동적인 부분이며, 의심을 초월하고 삶을 포용하는 그의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