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해주지도 않지만, 놓아주지도 않을 때
사랑은 어떤 경우에는 행복감을 주지만, 항상 우리를 딜레마에 빠지게 만든다. 많은 경우, 사랑은 그렇게 보람차지 않는 경험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는 상대방이 우리를 사랑해주지도 않지만, 놓아주지도 않을 때가 있다.
그 사람이 나에게 관심 없다는 것 쯤은 알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들은 우리의 필요에 대해 생각하지도, 행복하게 해주려고 노력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그 사람과 충분한 관계를 가졌고, 이제 그만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순간, 그 사람은 당신을 잃을 수 없다며 온갖 약속을 다 하려고 든다.
이 줄다리기는 혼란스럽다. 가끔, 혼란스러운 사람은 자기 자신일 뿐이라고 착각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상대방이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을 금새 알아차린다. 그렇게 악순환은 끝이 나질 않는다. 이 괴로운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사랑할 수 없다면, 머물지 말아라.
-프리다 칼로-
그 사람이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까?
사랑은 늘 약간의 고통을 수반한다. 그러나 건강한 사랑이라면, 문제보다는 행복한 순간이 더 많은 것이 정상이다. 비록 가끔 의심이나 문제점이 생기게 마련이지만. 간단히 말해 우리는 대부분의 경우 행복감을 느끼는 사랑을 해야 한다.
그 생각을 시작으로 우리는 차분함보다 불안함을 느낄 때, 상대방이 우리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 사람과의 관계가 즐겁기보다는 오해가 더 가득할 때, 잠시 고민에 빠지는 시간이 많아질 때, 더 이상 내적 평화가 없을 때, 항상 마음 속에 폭풍우가 지나가는 것 같을 때 말이다.
우리에게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은, 우리를 사랑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우리의 필요를 간과하고, 감정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없을 때도 마찬가지다. 혹은 우리를 거절하고, 비방할 때. 상대방이 우리를 사랑하지 않는지를 알아내기란 사실 쉽다.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 결정을 내리는 것이 어려울 뿐이다.
사랑해주지도 않지만, 놓아주지도 않을 때: 왜 보내주지 않는 것일까?
비록 상대방이 우리를 사랑하지는 않지만, 헤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행동은 우리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그럼에도 그 사람을 사랑하다보면, 그게 그 사람이 사랑하는 방식이라고 자기 합리화 하기에 이르른다. 이런 사랑의 증거는, 그 사람이 관계를 끊으려고 하지 않는 행동이다. 이것은 매우 기만적이다. 이러는 이유가 무엇일까?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이기적인 마음. 그 사람은 본인이 사랑하지는 않지만, 우리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외롭기 싫거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어렵기 때문일 수도 있다. 만약 두 가지가 해결된다면, 언제라도 헤어질 준비가 되어있을 것이다.
- 소유욕과 자기 중심 주의. 많은 사람들은 누군가가 그들의 자리를 대신할 생각을 싫어한다. 자신의 애인을 잃어서는 안되는 소유물쯤으로 여기는 마음이다. 우리에게 새로운 애인이 생긴다면 자존심 상하기 때문에 우리를 놓아주지 않는 것이다.
- 성숙의 결여. 이는, 단순히 누군가와 연애하는 방법을 모르는 케이스다. 사랑 받는 것은 알고 또 좋아하지만, 본인이 사랑을 주는 방법을 모르는 것이다.
자기중심적인 것은 정상적이다. 자신의 애인보다는 자기 자신이 더 중요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자신의 단점과 한계에 대해 책임질 필요가 없으면, 얼마든지 이기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상황 극복 방법
만약 지금 본인이 이런 상황에 처해 있다면, 우선순위를 정하기 전에 이 관계를 이어가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비대칭적인 관계는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로, 나쁜 감정, 불안감, 정체를 일으킨다.
첫째로, 상황을 분석하고, 애인이 정말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신하라. 피해망상에 사로잡혀서는 안된다. 지금 애인이 우리를 정말로 아끼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데에 기여하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해라. 아니면 솔직하게 말해보라고 대화를 시도해 볼 수도 있다. 그 사람이 드는 이유를 이해하려고 노력해라. 그 사람은 본인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는 그 사람과의 관계를 정리해라.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그 사람을 인생에서 지워버려라. 그런 관계는 가치가 없다. 우리를 아프게 하고, 가능성을 제한할 뿐이다. 만약 헤어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느껴진다면 도움을 요청해라. 지금 관계는 사랑이 아닌, 뭔가 다른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assepp V. (2021). Should I Stay or Should I Go? Relationship Satisfaction, Love, Love Styles and Religion Compatibility Predicting the Fate of Relationships. Sexuality & Culture [Internet], 25: 871–883. Recuperado de en: https://doi.org/10.1007/s12119-020-09798-2
- Garabito S., García F. E., Neira M., & Puentes E. (2020). Ruptura de pareja en adultos jóvenes y salud mental: estrategias de afrontamiento ante el estrés del término de una relación. Psychologia. Avances de la Disciplina, 14(1), 47-59. Recuperado de: http://www.scielo.org.co/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900-23862020000100047
- Joel S., Impett E., Spielmann S., MacDonald G. (2018). How interdependent are stay/leave decisions? On staying in the relationship for the sake of the romantic partner. JPSP [Internet]. 2018; 115(5): 805–824. Recuperado de: https://doi.org/10.1037/pspi0000139
- Morris C. E., & Reiber C. (2011). Frequency, intensity and expression of post-relationship grief. EvoS Journal: The Journal of the Evolutionary Studies Consortium, 3(1), 1-11. Recuperado de: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Frequency-%2C-Intensity-and-Expression-of-Grief-Morris-Reiber/28e0d853c18e4c731b6d240ee5a40a089e993eea
- Kaczmarek, P., Backlund, B., & Biemer, P. (1990). The dynamics of ending a romantic relationship: An empirical assessment of grief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Recuperado de: https://psycnet.apa.org/record/1990-30843-001
- Stanley S. M., Rhoades G. K., Scott S. B., Kelmer G., Markman H. J., & Fincham F. D. (2017). Asymmetrically committed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4(8), 1241–1259. Recuperado de: https://doi.org/10.1177/026540751667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