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소리 교육법은 교육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마리아 몬테소리(Maria Montessori)는 조기 교육 분야에 혁명을 일으킨 교육법의 창시자이다. 그녀가 제안한 몬테소리 교육법은 게임에 특별히 중점을 두었고, 그것은 아이들에게 다양한 기량과 능력을 개발하는 완벽한 매개체가 되었다.
많은 유치원이 몬테소리 교육법(Montessori method)의 훌륭한 본보기를 제공한다. 놀이, 재미, 유연성에 중점을 두는 몬테소리 교육법은 아이들이 자발적이고 자주성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
몬테소리 교육법은 어린아이들의 독립심과 동시에, 아이들이 공존, 협동, 존중의 기본 가치를 습득하는 것을 돕는다.
몬테소리 교육법은 탐구, 친구들과의 협동, 호기심, 놀이, 그리고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가장 어린아이들의 자연스러운 기량 개발을 유도한다.
몬테소리 교육법의 기본 원칙
몬테소리 교육법의 기본 원칙을 분석해 보자. 물론, 몬테소리 교육법의 실행 방법은 교육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다르게 각색될 수 있지만, 아래에서는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설명할 것이다.
우선, 몬테소리 교육법은 발견 기반의 학습을 권장한다. 우리는 모두 타고난 호기심이 있다. 몬테소리 강사들은 아이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방법을 사용하면 아이들이 더 많이, 재미있게 배울 것이라 믿는다. 이 방법은 아이들이 질문하고, 스스로 답을 찾아야 하는 자연스러운 성향을 활용한다.
또한, 몬테소리 교육법을 따르는 사람들은 환경과 그들의 특성 (나이, 문화, 자폐증과 같은 진단 등)에 따라 각 아이의 필요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또한 각 아이가 상호작용하고 놀 수 있는 나무, 흙과 같은 자연 소재를 그 방법에 맞추는 것을 추가해야 한다.
강사가 사용하는 모든 게임에는 협업의 요소가 있어야 한다. 강사가 게임을 감독하고, 지휘하고, 조정해야 하지만, 가능한 한 학습 과정에는 개입하지 않아야 한다. 그들은 그저 학생들의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몬테소리 교육법은 전통적인 교육을 바꾸는 것을 추구한다. 몬테소리 교육법의 목표는 수업을 역동적이고 재미있는 경험으로 바꿔 놓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수업은 어떠한 방해 없이, 3시간 연속으로 지속한다.
몬테소리 교육법은 학년 수준 (3세까지의 최대 나이 차이)보다는, 연령대별로 학급을 나눈다. 예를 들면, 6살에서 9살 사이의 아이들을 모아 한 학급으로 구성하는 식이다. 이 학급 구성 방식은 아이는 다양한 나이와 상호작용하도록 돕는다.
오늘날의 몬테소리 법
다행히도, 몬테소리 교육법은 시간이 많이 흐른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몬테소리 교육법은 게임과 아이들의 독립 및 자율성을 돕고, 게다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다양한 요소들과 상호작용을 한다. 요컨대, 몬테소리 교육법은 게임과 재미에 대한 아이들의 타고난 성향을 주된 교육적인 엔진으로 바꾼다.
하지만 기존 초등 교육의 강세로 교실의 풍경은 달라져 버렸다. 아이들은 토론과 대화 없이, 선생님이 가르치는 수업에만 주의를 기울인다. 이러한 방식은 학습에 대한 본질적인 동기를 없애 버린다.
개중 몬테소리 교육법을 선택한 몇몇 학교는 0세에서 6세 사이의 어린이들만을 대상으로 학급을 진행한다. 비록 대부분 학교가 이 연령대에만 이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만, 마리아 몬테소리는 12살까지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렇지만 몬테소리 교육법은 고등학교 수준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마리아 몬테소리는 고등 교육 단계를 완벽하게 설계하고 개발할 시간은 없었지만, 나이가 있는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몇 가지 확립된 지침은 남겨 놓았다.
현재 교육제도는 성적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학생들에게 유리한 최종 성적을 낼 수 있는 과제를 완료하라는 많은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 몬테소리 교육법은 그 반대를 추구한다. 주된 목적은 최고의 점수를 받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시험도 숙제도 없다.
다양한 자료가 초등학교 이후 교육은 학생들을 지루하게 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에 가는 것이 쓸모없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 상황은 우리가 가르치는 방식을 다시 생각하도록 하는 장려책이 되어야 한다. 성적은 학생들에게 성공하지 못하거나 똑똑하다고 딱지를 붙인다. 하지만, 주된 목표는 학생들이 그들 주변의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Stendler, C. (1965). The Montessori Method. Educational Forum. https://doi.org/10.1080/00131726509339429
- Gutek, G. L. (2004). The Montessori Method: The Origins of an Educational Innovation: Including an Abridged and Annotated Edition of Maria Montessori.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https://doi.org/10.1017/CBO9781107415324.004
- Marshall, C. (2017). Montessori education: a review of the evidence base. Npj Science of Learning. https://doi.org/10.1038/s41539-017-0012-7
- Duckworth, C. (2006). Teaching peace: a dialogue on the Montessori method. Journal of Peace Education. https://doi.org/10.1080/17400200500532128
- Gutek, G. L. (2004). Method, The Montessori. Journal of Chemical Information and Modeling. https://doi.org/10.1017/CBO9781107415324.004
- Rathunde, K., & Csikszentmihalyi, M. (2005).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Quality of Experience: A Comparison of Montessori and Traditional School Environment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https://doi.org/10.1086/428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