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 링골드: 운명을 받아들인 여자

페이스 링골드는 그녀의 재능을 통해 미국 사회 내의 인종차별을 고발했다. 페이스가 인종차별 피해자의 아픔을 아름다운 예술로 승화한 방법을 함께 알아보자.
페이스 링골드: 운명을 받아들인 여자

마지막 업데이트: 29 11월, 2019

페이스 링골드(Faith Ringgold)는 그녀만의 독특한 예술 양식을 선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화가다. 그녀의 모든 창작물 중에서 그녀의 이야기는 정말 돋보인다.

페이스 링골드의 예술과 활동성은 서로 통한다. 그녀의 예술은 편견을 직접적으로 공격했고 종종 인종적 모욕의 충격적 가치를 사용하면서 정치적으로 소신 있는 발언을 해왔다.

그녀의 작품은 인종차별과 1960년대의 정치적, 인종적 불안을 부각하고 백인 문화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

퀼트를 만드는 것은 남북전쟁 시대에 남부 노예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렇게 해서 이 예술가는 퀼트를 만드는 전통적인 직업을 택했고 그녀의 삶과 많은 다른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역할을 재해석했다.

페이스 링골드의 유년기와 청년기

페이스 링골드는 1930년 10월 8일 뉴욕시에서 페이스 윌리 존스(Faith Willie Jones)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인 루이 존스(Louis Jones)는 트럭 운전사였고, 그녀의 어머니인 윌리 포세이 존스(Willi Posey Jones)는 패션 디자이너로 일했다. 그녀의 부모는 세 자녀의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 돈을 벌었다.

페이스 링골드는 건강 문제로 인해 초등학교에 정기적으로 다닐 수 없었다. 천식을 앓았기 때문에 그녀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병원이나 집에서 보냈다. 이 시기 동안 그녀는 그림에 대한 사랑을 키웠고 이후 뉴욕 시티 칼리지(City College of New York)에서 미술을 공부했다.

페이스 링골드

그녀는 1950년 재즈 피아니스트 로버트 얼 월리스(Robert Earl Wallace)와 결혼했지만 결혼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그들은 1956년에 이혼했다. 그녀는 바바라와 미셸이라는 두 딸을 두었다. 페이스는 1962년 5월 19일 번데트 링골드(Burdette Ringgold)와 재혼했다.

그녀가 졸업한 후, 페이스는 뉴욕에 있는 시티 칼리지에서 미술 교사로 일했다. 그 외에도 와그너 칼리지(Wagner College)와 뱅크 스트리트 교육대학(Bank Street College of Education)에서 60, 70년대에 근무했다.

그녀의 첫 작품

70년대 초, 그녀는 전통 그림을 버렸다. 대신 링골드는 티벳 캉가스의 그림처럼 부드러운 천 모서리로 화폭에 아크릴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게다가, 그녀는 자기 어머니와 함께 천으로 만든 후드, 구슬, 그리고 라피아로 만들어진 마스크를 디자인하는 일을 했다. 이것들은 아프리카 부족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었고, 그것은 그녀의 첫 번째 예술 작품이었다.

또한 어머니의 도움으로, 페이스는 아담 클레이튼 파월, 윌트 체임벌린, 농구선수, 그리고 할렘 출신의 다른 인물들의 실물 크기의 초상화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 작품은 할렘 시리즈로 알려져 있다.

동시에, 페이스는 대학에서 아프리카 미술을 장려했다. 그녀의 수업에서, 그녀는 아프리카 보석 디자인, 옷, 구슬 활용법을 가르쳤다.

페이스 링골드 작품 속의 정치

페이스 링골드는 여성 착취와 관련된 정치적 이슈에 깊은 매력을 느꼈다. 이러한 정치적 동기는 차례로 민권 운동의 발흥에 영향을 받았다. 그녀의 작품에서, 그녀는 자신이 경험했던 공동체의 고통을 묘사할 수 있었다.

“나는 좋은 남자 뒤에 있는 이상의 장소를 열망하는 딸들과 다른 여자들을 돕고 싶었기 때문에 페미니스트가 되었다.”

-페이스 링골드-

이렇게 해서 링골드는 1960년대에 그녀가 연출한 그림을 통해 간신히 사회적 부정을 폭로했다. 이 시기부터 만들어진 그녀의 그림 중에는 American PeopleThe Flag is Bleeding이 있다.

그녀의 작품은 주로 작가 제임스 볼드윈(James Baldwin)과 아미리 바라카(Amiri Baraka)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 두 작가 모두 미국의 차별과 흑인들의 투쟁에 대해 썼다.

“시각 예술만큼 백인이 아닌 사람을 차별하는 분야는 없다. 내가 예술가가 되기로 결심한 후, 내가 가장 먼저 믿어야 할 것은 흑인 여성인 내가 예술계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과 나의 까만 피부, 여성성, 또는 인간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페이스 링골드-

퀼트는 이야기를 한다

페이스는 그녀의 미술 분야를 넓히고 바느질, 직조, 직물작용이 예술계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기여했다. 그녀는 이러한 한계에 도전하고 대학에 직조하는 기술을 도입한 최초의 예술가였다.

이 퀼트의 개념은 미국의 아프리카 노예들에 의해 소개된 직조 기술에서 발전했다. 이 퀼트들은 온기를 제공하려는 그들의 기본적인 목적을 넘어서서 기억을 보존하는 방법이 되었다. 어찌 된 일인지 이 직물들은 마치 게시판의 역할을 했다.

페이스의 독특한 접근법은 이러한 서술 퀼트를 이용한 여성 공예품을 장려했다. 이러한 작품 속에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설명과 함께 일련의 이미지가 담겨있다.

Echoes of Harlem는 그녀가 1980년부터 만든 30 퀼트 중 첫 번째 작품이었다. 저마다 아이들의 이야기 구조를 채택했고, 이불의 각 부분은 한 페이지에 해당한다.

그녀의 가장 유명한 이야기 중 하나는 Tar Beach다. 그 위에서 따뜻한 여름밤 옥상에 모여 있는 가족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이들이 놀고 자는 동안 어른들이 서로를 방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흑인들을 상대로 세워져 있던 모든 장벽을 자유롭게 날아갈 수 있는 꿈을 꾸고 있는 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장면은 배경에는 조지 워싱턴 다리로 표현되어 있다.

믿음의 다른 유명한 퀼트 작품은 다음과 같다. Who’s Afraid of Aunt Jemima?, Street Story. 전작은 성공한 사업가가 된 아프리카 여성의 삶을 묘사한다.

뉴욕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페이스의 작품은 항상 현대 미국 미술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주로 그녀의 유일한 주제가 흑인 문화와 인종 차별이었기 때문인데, 그렇기 때문에 그녀가 더 보수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인 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않았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페이스 링골드 02

사회적 헌신과 인식

페이스는 또한 그녀의 사회적 활동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녀는 뉴욕의 휘트니 미술관에서 아프리카 예술가들의 권리를 위해 온 정성을 다해 싸웠다.

그녀의 투쟁은 예술가 포피 존슨과 미술평론가 루시 리파드가 설립한 여성 예술 위원회의 활동에서 분명히 드러났다. 사회운동가로서, 그녀는 Where We At와 같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예술가들을 지원하는 단체를 설립하고 개발하는 데 미술을 사용해왔다.

그것의 기반인 ‘Anyone Can Fly‘는 아프리카 장르의 예술가들을 포함하도록 미술 카탈로그를 확장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게다가, 이 재단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미술 교사들을 어린이와 어른들에게 소개하는 데 기여한다.

그녀의 가장 최근의 작품들은 다른 방식으로 편견을 다루고 있다; 그녀는 더 이상 편견에 대항하는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젊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긍정적인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편견을 전복하는 것을 택했다.

“누군가가 네 정체를 밝히기를 앉아서 기다릴 수는 없어. 직접 붓을 들고 나설 때다.”

-페이스 링골드-

페이스 링골드는 1967년과 1970년에 뉴욕의 스펙트럼 갤러리에서 개별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최초의 흑인 여성이 되었다. 예술가, 교사, 운동가로서의 그녀의 업적은 그녀에게 수많은 명예를 가져다주었다. 그녀는 명예박사학위를 포함하여 거의 75개의 상을 받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Farrington, L. E. (1999). Art on Fire: The Politics of Race and Sex in the Paintings of Faith Ringgold. Millennium Fine Arts Pub.
  • Tesfagiorgis, F. H. (1987). Afrofemcentrism in the Art of Elizabeth Catlett and Faith Ringgold. Sage, 4(1), 25.
  • Graulich, M., & Witzling, M. (1994). The freedom to say what she pleases: a conversation with Faith Ringgold. NWSA journal, 6(1), 1-27.
  • Millman, J. (2005). Faith Ringgold’s Quilts and Picturebooks: Comparisons and Contributions.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36(4), 381-393.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