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확실한 증상이 있음에도 장애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절박성 요실금 증상에 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모임이나 무언가에 집중하느라 요의를 느끼지 못했다고…
폭식증이란?

아무도 보고 있지 않을 때, 그녀는 그녀의 절친을 향해 간다. 바로 냉장고다. 초콜릿, 쿠키, 감자칩…상관 없다. 그녀는 마치 쫓기듯 빠르고 탐욕스럽게 먹는다. 다 먹은 후 구토를 하는 일은 없다. 그저 이런 식으로 먹었다는 사실에 반성과 죄책감을 느낄 뿐이다.
그녀는 불안 정서를 느끼며, 예쁘고 말라야한다는 강박증을 느낀다. 늘 스스로를 굶기며 다이어트를 하고 그만두기를 반복한다. 그녀의 몸은 감옥이고, 궁극의 적은 자기 자신이다.
집으로 돌아와 힐을 벗을 때, 거울을 보는 그녀는 굶거나 폭식, 둘 중 하나로만 치유되는 깊은 슬픔을 느낀다. 빠져나오는 방법을 모르는 굴레로 빠져버렸다. 그녀의 가장 은밀한 비밀이다.
이 이야기는 폭식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일화다. 날이 갈수록 더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아직 확실한 진단법이 없다.
확실한 것은, 보통 남자보다 여자들에게서, 그리고 비만이거나 아주 강도 높은 다이어트로 스스로를 혹사시키는 사람들에게 나타난다. 또한 식욕 부진이나 거식증보다 더 흔한 질병이다.
폭식증 증후
- 많은 양의 음식을 금방 먹어치운다 (폭식한다). 배고프지 않아도 배부르다고 느끼거나 도저히 먹을 수 없을 때까지 음식을 먹는다. 폭식하기 전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면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
- 두려움 혹은 부끄러움으로 인해 비밀리에 폭식한다. 저녁에 아무도 없을 때, 특히 정서적 스트레스를 받은 직후에.
- 무엇보다 압박감에 눌릴 때, 혹은 심리적으로 약할 때 폭식을 한다.
- 폭식 이후, 커다란 죄책감 혹은 부끄러움을 느낀다.
- 식욕 부진이나 거식증과 같은 다른 식이 장애와는 달리, 구토, 운동, 금식 등의 식사 이후 정화 작업은 없다.
-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이 흔히들 걸린다. 보통 체격, 체중에 대한 불만, 혹은 낮은 자존감 등의 다른 정서적 문제점과 함께 발생한다.
- 폭식증을 앓는 사람들은 보통 체중이 자주 변하고, 비정상적인 식습관을 지닌다.
- 그들은 체중 감량을 위해 엄격한 식단법을 따라야한다고 늘 생각하고 다닌다. 식단이 엄격할수록 피해와 장애는 더 심해진다.
- 만일 위의 증상들이 최소 일주일에 이틀을 최소 6개월동안 보인다면, 폭식증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폭식증의 치료법은?
만약 친구, 가족 멤버, 혹은 본인이 폭식증을 앓고있다면, 가능한 한 빨리 심리학자나 정신과 의사를 찾아야한다.
그들로부터 영양과 심리 두 분야를 접목시킨 개인 혹은 집단적 치료법을 받을 수 있다. 폭식의 충동을 막기 위해 약물이 필요하다면 반드시 전문가로부터 평가와 도움을 받아야한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정신적으로나 신체적 불상사를 초래하는 장애를 막도록 정상적인 식습관을 바로잡아 줄 수 있다.